광고 | |||
| |||
보통 다운점퍼를 세탁하려는 사람들은 점퍼를 들고 세탁소로 향하는 경우가 많다. 드라이크리닝을 하기 위해서다. 하지만 드라이크리닝으로는 묵은 때가 제대로 빠지지 않는다. 실제로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의류심의 요청을 받은 다운소재 제품은 총 3905건으로, 이중 29.8%인 1177건은 세탁 후 얼룩과 이염이 발생한 건이였다. 즉 3명 중 1명이 불만을 제기할 정도로 드라이크리닝으로는 다운점퍼의 때가 잘 빠지지 않는 것이다.
사실 다운점퍼는 세탁 방법으로 석유계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드라이크리닝을 활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. 유기용제로 인해 점퍼 안에 들어있는 오리털이나 거위털의 유분이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. 따라서 드라이크리닝을 반복하게 되면 깃털의 탄력이 떨어져 보온성이 감소될 수 있다. 이같이 다운점퍼가 드라이크리닝에 적합하지 않는데도 시중에 판매된 다운점퍼의 41.8%는 세탁 취급표시에 ‘석유계 드라이크리닝’으로 표시돼 있었다고 소비자연맹은 전했다.
그럼 다운점퍼를 어떻게 세탁해야 할까. 의외로 다운점퍼는 물세탁을 하는 것이 훨씬 좋다. 때도 잘 빠지고 세탁 후 오리털이나 거위털 복원력도 좋아진다. 소비자연맹은 효과적인 다운점퍼 세탁법으로 드럼세탁기로 중성세제를 사용해 물세탁을 하라고 조언하고 있다. 통돌이 세탁기(와류형)로 세탁하게 되면 스크류 현상으로 점퍼가 물에 붕 떠 얼룩이 제거되지 않고 세탁기와 마찰이 되면서 파손의 원인이 된다.
이와함께 헹굼과 탈수를 3~4회 반복해 오염물을 맑은물로 완전히 헹구고 수분도 완벽히 제거해야 한다. 요즘 나오는 다운제품이 고밀도 원단을 사용하고 투습ㆍ방수ㆍ발수 등의 기능성 가공으로 물이 잘 빠지지 않아 완전히 헹구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하면 얼룩이 생기 때문이다. 일부 제품은 세탁 취급표시에 약하게 짜도록 표시돼 있으나 이 역시 세제가 점퍼 섬유조직에 남아있을 수 있어 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.
건조는 3회 이상의 탈수 후 즉시 그늘지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옷걸이에 걸어 말리는 것이 좋다. 온풍을 이용한 기계건조를 하려면 우선 자연건조를 한 후 60~70℃에서 20분 이내로 건조해야 한다. 그래야 충전재의 부피감이 원형으로 빠르게 회복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.
이밖에 염소, 산소 표백은 사용하지 않는 게 낫고, 다림질은 헝겊을 덮고 80~120℃온도에서 하는 것이 좋다.
carrier@heraldcorp.com